본문 바로가기

자산2

테이퍼링이란? (tapering) 금리인상? 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정책금리를 제로 수준까지 낮추고, 중앙은행이 화폐를 찍어내서 시장에 돈을 공급하는 정책인데요, 미국이 이런 양적완화 정책을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코로나19를 극복하고 국가경제를 견고하게 이끌어갔습니다. 하지만 시중에 돈이 너무 풀리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고 과도한 자산 매입으로 국가의 빛이 늘어 재정상태가 건전하지 못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다시 양적축소 정책을 피게 되는데, 이것을 다른 말로 테이퍼링이라고 합니다. 2013년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처음 언급한 용어인데 경기 부양을 위해 과도하게 풀은 유동성을 경기가 회복세에 진입했을 때 다시 회수.. 2021. 8. 28.
주식 기초 공부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신도리코) 현금을 많이 갖고 있는 회사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현금은 많고 부채가 없다면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회사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벤자민 그레이엄 교수도 (유동자산 - 유동부채) 가 많은 기업이 좋은 기업이라고 했습니다. 먼저 이 현금과 현금성 자산을 파악하기 위해선 재무제표를 볼 수 있어야 하는데요, 재무제표중에서 재무상태표에 대한 개념을 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위 식이 의미하는 것은 차변의 자산과 대변의 자본+부채는 같다라는 것인데요, 이 의미를 잘 생각해보면 자산을 이루고 있는 돈이 자본과 부채로 되어있다라는 것을 뜻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표가 재무상태표를 요약한 것인데 이 재무상태표는 어느 특정 시점에 회사의 재무구성을 정리한 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2021.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