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2 주식 기초 공부 - 주식에서의 부가가치 EVA (세계 브랜드 순위, 한국 브랜드 순위) 부가가치란 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부가가치세란 세금도 있듯이 어떤 제품에 부가된, 즉 첨부된 가치란 얘기입니다. 말이 좀 어려울 수 있어서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만약 어떤 음식점에서 요리를 만들 때 요리사가 1000원의 재료비를 들여서 요리를 만든 후 그것을 1만 원에 판다면 부가가치는 얼마일까요? 맛이라는 가치를 부가했기 때문에 부가가치는 9000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가게나 회사 등에서 제품을 판매할 때 특별한 가치, 즉 상품성을 입혀서 판매한 수익을 부가가치라고 하고 영어로는 EVA라고 합니다. 영어로 다시 풀어쓰면 Economic Value Added로 한국말로 해석해도 경제적 부가가치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이 새롭게 창출한 가치인 것이죠 이 EVA 식은 몇 가지.. 2021. 7. 25. 주식 기초 공부 -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 영업이익이란? 매출액에서 사업을 운영하는데 사용한 돈을 빼고 남은 금액을 말합니다. 이 영업이익을 어떻게 구하는지 한눈에 보기 위해서 NAVER의 재무분석표를 한번 보겠습니다. 표에서 처럼 영업이익은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비와 관리비 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여기서 매출원가는 말 그대로 제품을 만드는데 쓰인 재료비를 말합니다. 보통 이 재료비보다 비싸게 팔아야지만 영업이익이 많이 창출되는데 브랜드에 경쟁력이 높아야지만 제품을 비싸게 팔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기업 이미지 마케팅에 노력을 기울리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만들어 놓은 제품이 안 팔릴 경우엔 이 재료비값만 받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요. 그렇게 되면 위의 표에서 매출총이익은 0이 되겠죠? 이런 .. 2021. 6. 29. 이전 1 다음